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JUST DO IT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 전문적으로 알아보기 본문

의학정보/질병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 전문적으로 알아보기

ROKIIIII 2023. 9. 11. 11:42

1. 저칼슘혈증의 정의 및 분류

저칼슘혈증은 혈중의 칼슘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낮아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혈중 총 칼슘 농도가 8.5 mg/dL 이하일 때 이를 의미한다. 분류는 급성과 만성, 그리고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2. 원인 및 발병 메커니즘

-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 부족으로 칼슘의 대사가 어려워짐

- 비타민 D 결핍: 칼슘 흡수에 필요한 비타민 D가 부족할 경우

- 신기능 장애: 신장의 기능이 저하될 때 칼슘의 재흡수가 감소함

- 약물 및 독소: 몇몇 약물이나 중금속 독소는 칼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

 

3. 주요 증상 및 합병증

- 경련: 주로 손이나 발에서 시작, 얼굴 근육에도 발생할 수 있음

- 무감각 및 저림증: 주로 손가락 끝과 발끝에 나타남

- 심계항진: 심장 박동수의 증가

- 골절 증가: 칼슘 부족으로 인한 뼈의 취약성 증가

 

4. 진단 방법 및 기준

- 혈액 검사: 혈중 총 칼슘과 이온화 칼슘 농도 측정

- 부갑상선 호르몬 검사: 부갑상선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

- 비타민 D 수준 검사: 비타민 D의 부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5. 치료 전략 및 방법

- 칼슘 및 비타민 D 보충: 식이와 보충제를 통해 보충한다

-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필요한 경우 부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한다

- 기저 원인 치료: 신기능 장애나 약물 부작용 등 원인을 찾아 치료한다

 

6. 관련 진료과 및 전문가

내분비과와 신장내과가 주로 관여하며, 이외에도 임상영양과에서도 치료와 관리에 참여할 수 있다.

 

7. 예방 및 관리법

- 균형 잡힌 식단: 칼슘과 비타민 D가 풍부한 음식 섭취

- 정기적인 건강검진: 초기 단계에서의 발견 및 치료가 중요

- 약물 복용 시 주의: 장기간 특정 약물을 복용할 경우 정기적으로 혈중 칼슘 농도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