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윈도우 (38)
JUST DO IT
1. FPP(Full package product) - 박스 형태의 패키지이며 라이센스 키와 윈도우10이 들어있는 USB메모리가 들어있다. - 라이센스 중 가장 비싼편에 속한다. - PC를 바꾸거나 다른 PC에서 사용하고자 하는경우 등록해제 후 재등록하면 사용가능하다. 2. DSP(Delivery service pack)/COEM(Commercial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 메인보드 바이오스 자체에 라이센스가 귀속되는 방식으로 다른 PC로 옮겨 인증이 불가하다. - 디스크나 RAM 등의 부품교체에는 문제가 없으나 메인보드 교체 시 사용이 불가하다. (기존 CPU등의 핵심부품의 교체 시에도 인증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한다.) - FPP에 비해 가격적으로 메리트가 있다...

윈도우 10의 가상 데스크탑(Virtual Desktop)은 윈도우 바탕 화면을 가상으로 여러개로 만들어 자유롭게 전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작전명 몰컴 이라고도 하죠 ㅎㅎ 모든 가상 데스크톱보기 : Windows Key + Tab 새 가상 데스크톱 만들기 : Windows Key + Ctrl + D 현재 가상 데스크톱 닫기 : Windows Key + Ctrl + F4 다음 가상 데스크톱으로 이동 : Windows Key + Ctrl + Right 이전 가상 데스크톱으로 이동 : Windows Key + Ctrl + Left 모든 가상 데스크톱보기 : Windows Key + Tab 여기서 + 새 데스크톱을 누르시면 가상 네트워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각 가상 테스크톱마다 이름을 수정하실 ..

https://roki1305.tistory.com/36 윈도우11 공유프린터 연결오류 해결법(22H2) 공유할 프린터가 연결된 PC에서 22H2 버전으로 업데이트 이후 공유가 안되는 상황에서의 해결법입니다. 1. MAIN PC(공유할 프린터가 연결된 PC)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cmd(명령 프 roki1305.tistory.com ※ MAIN PC가 22H2 버전일 경우 레지스트리 추가하여 해결하는 방법 위 글 참조바랍니다※ 첫번째로 최근 KB5008212 이상의 보안업데이트가 HOST, CLIENT PC 모두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윈도우 최신 업데이트하시면 자동으로 설치될 것이고 다른문제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면 아래링크에서 수동으로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PC 사양에 맞춰..

https://roki1305.tistory.com/16위 페이지 설명으로 해결가능합니다. 올해 9월 중순 윈도우10 보안 업데이트 KB5005565를 시작으로 기존에 usb로 연결하여 PC간 네트워크 공유로 사용하던 프린터가 오류가 발생하는 현상이 시작되었습니다. 사실상 오류라고보기는 어렵고 MS에서 의도한대로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생각하는편이 맞다고 봅니다. 지난 7월1일 MS에서는 Windows 인쇄 스풀러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을 아래와 같이 발표했습니다.CVE-2021-1675에서 처음언급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CVE-2021-34527과는 공격벡터가 다르고 해당 취약성은 6월8일 릴리즈된 KB5003637업데이트에서 해결이 되었다는 설명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https://..

https://roki1305.tistory.com/16 위 페이지로 해결가능합니다. 최근 윈도우 KB5005565 업데이트 이후로 네트워크로 공유해서 사용하는 프린터 작동이 안되는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여태까지 잘 사용하던 공유프린터들이 곳곳에서 작동이 안된다고 연락이 쏟아져 확인해본 결과 모든 윈도우 10 PC에서 같은 '0x0000011b'라는 오류코드 메세지를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해당 업데이트 삭제 이후 바로 공유프린터는 정상작동 하였습니다. ※ 윈도우10 PC는 공유하는 PC, 받는 PC 모두 업데이트를 삭제 해주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Microsoft 측으로 문의해본 결과 해당 이슈를 인지하고 있었고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안내해주었습니다. https://sway.offi..

서브용으로 이것저것 시도해볼 때 사용하는 사양이 낮은 노트북에서 가끔 평소와는 너무 다르게 버벅거릴 때가 있어 작업관리자를 열어보니 MicrosoftCompatibillityTelemetry 라는 프로세스가 미친듯이 CPU를 점유하고 있었다. 부팅 때나 CPU 사용량이 적을때를 감지하여 알아서 실행되고 말면 모르겠는데 시도때도 없이 나의 CPU를 점유하는 이 녀석을 그냥 보고있을 수 만은 없었다. Microsoft Compatibillity Telemetry는 윈도우10 사용정보를 MS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물론 MS에서 기본적으로 수집하는 정보가 있어야 나도 업데이트된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 굳이 내 CPU까지 써가면서 보내주고 싶진 않았다. 더구나 윈도우 PC만 4대를 사용중인데 얘는 사양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