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70)
JUST DO IT

https://roki1305.tistory.com/16위 페이지 설명으로 해결가능합니다. 올해 9월 중순 윈도우10 보안 업데이트 KB5005565를 시작으로 기존에 usb로 연결하여 PC간 네트워크 공유로 사용하던 프린터가 오류가 발생하는 현상이 시작되었습니다. 사실상 오류라고보기는 어렵고 MS에서 의도한대로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생각하는편이 맞다고 봅니다. 지난 7월1일 MS에서는 Windows 인쇄 스풀러 원격 코드 실행 취약성을 아래와 같이 발표했습니다.CVE-2021-1675에서 처음언급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CVE-2021-34527과는 공격벡터가 다르고 해당 취약성은 6월8일 릴리즈된 KB5003637업데이트에서 해결이 되었다는 설명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https://..

https://roki1305.tistory.com/16 위 페이지로 해결가능합니다. 최근 윈도우 KB5005565 업데이트 이후로 네트워크로 공유해서 사용하는 프린터 작동이 안되는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여태까지 잘 사용하던 공유프린터들이 곳곳에서 작동이 안된다고 연락이 쏟아져 확인해본 결과 모든 윈도우 10 PC에서 같은 '0x0000011b'라는 오류코드 메세지를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해당 업데이트 삭제 이후 바로 공유프린터는 정상작동 하였습니다. ※ 윈도우10 PC는 공유하는 PC, 받는 PC 모두 업데이트를 삭제 해주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Microsoft 측으로 문의해본 결과 해당 이슈를 인지하고 있었고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안내해주었습니다. https://sway.offi..

서브용으로 이것저것 시도해볼 때 사용하는 사양이 낮은 노트북에서 가끔 평소와는 너무 다르게 버벅거릴 때가 있어 작업관리자를 열어보니 MicrosoftCompatibillityTelemetry 라는 프로세스가 미친듯이 CPU를 점유하고 있었다. 부팅 때나 CPU 사용량이 적을때를 감지하여 알아서 실행되고 말면 모르겠는데 시도때도 없이 나의 CPU를 점유하는 이 녀석을 그냥 보고있을 수 만은 없었다. Microsoft Compatibillity Telemetry는 윈도우10 사용정보를 MS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물론 MS에서 기본적으로 수집하는 정보가 있어야 나도 업데이트된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 굳이 내 CPU까지 써가면서 보내주고 싶진 않았다. 더구나 윈도우 PC만 4대를 사용중인데 얘는 사양이 ..
F7을 눌러보자 그리고 정상작동이 된다면 좋아요를 눌러보자

◎ 단축키 Ctrl+E: 검색 모드(sEarch) Ctrl+F: 찾기(Find) Ctrl+N: 새 창(New window) Ctrl+R: 새로고침(Refresh) Ctrl+T: 새 탭(new Tab) Ctrl+U: 소스 보기(view soUrce) Ctrl+W: 탭 닫기 Ctrl+(-): 화면크기 축소 Ctrl+(+): 화면크기 확대 Ctrl+(숫자): 해당순번 탭으로 이동 Ctrl+Tab/PgUp: 다음순번 탭으로 이동 Ctrl+Shift+Tab,Ctrl+PgDn: 이전순번 탭으로 이동 Ctrl+Shift+T: 닫았던 창 열기 Alt+D: 주소창으로 포커스 이동(aDdress) Alt+←: 이전 페이지 Alt+→: 다음 페이지 Alt+Shift+B: 즐겨찾기Focus ← Backspace: 이전 페이지..

굵게 : Ctrl + B 밑줄 : Ctrl + U 기울임 : Ctrl + I 취소선 : Ctrl + D 좌측정렬 : Ctrl + , 중앙정렬 : Ctrl + . 우측정렬 : Ctrl + / 번호매기기 : Ctrl + Alt + O 글머리기호 : Ctrl + Alt + U 인용 : Ctrl + Q 링크삽입/수정 : Ctrl + K 효과 제거 : Ctrl + Alt + X 임시 저장 : Ctrl + S 글쓰기 화면 넓게 쓰기 : Ctrl + M 글쓰기 화면 탭 이동 : Ctrl + ~ 제목1 : Alt+Shift+2 제목2 : Alt+Shift+3 제목3 : Alt+Shift+4 : Alt+Shift+5 : Alt+Shift+6 문단 : Alt+Shift+7 : Alt+Shift+8 : Alt+Shift+9..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 축 정리입니다. 스위치 축의 실제 색상과 특징 따라 이름이 붙습니다. EX> 청축, 녹축, 백축, 갈축, 회축, 적축, 흑축 등 * 키보드의 스위치 방식은 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이 세 종류로 나뉩니다. - 클릭 : 타건감이 뚜렷하고 찰칵찰칵 소리가 큼 - 넌클릭 : 타건감이 뚜렷하고 소리가 작음 - 리니어 : 반발력이 세고 소음이 거의 없음 적축방식: 리니어키압: 40g(±15g)키압이 낮아서 끝까지 누르지 않아도 입력이 쉽게 되는 느낌이 드는편. 누른다는 느낌이 막연해서 처음 사용할 때 오타가 잦을 수 있다.기계식 키보드 중 소음이 가장 적은 편에 속하여 사무용으로도 많이 사용된다.갈축방식: 넌클릭키압: 45g(±15g)확실한 타건감을 갖고 있으나 청축의 찰칵찰칵..

FDM방식 3D프린터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구조물 래프트, 스커트, 브림에 대해 소개합니다. · 래프트 ( Raft ) : 래프트란 물체가 인쇄되기 전에 인쇄물과 베드 사이에 있는 구조물입니다. 기본적으로 인쇄물의 가장 밑바닥면보다 xy기준 넓은 면적과 z축 기준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게 합니다. 두께에 따라 바닥의 수평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인쇄물이 출력되기 전에 어느정도 레벨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얇고(xy) 긴(z) 형상일수록, 프린팅 과정에 베드의 움직임이 많을수록 인쇄물의 고정이 안정적이지 못할 확률이 커지는데 인쇄물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베드에 안착이 되기 때문에 안정성 확보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세팅에 따라 베드와 래프트, 래프트와 출력물 간의 탈착이 힘들수..